2022년 NEIS 산출 자료(3~10월 임시자료)에 따르면 전남의 초, 중, 고등학생 181,977명 중 0.51%인 44,913명이 학업을 중단했다.
교육은 전남의 가장 큰 핵심 사업이자 지역생존의 문제인데 학교를 그만두고 쉬고 있는 이른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을 공교육으로 끌어들이는 다양한 지원 방안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이란 초·중학교 입학 후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고등학교 제적·퇴학·자퇴한 청소년 또는 진학하지 아니한 청소년으로 경제적·가정환경·비행 등의 이유로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들이다.
현재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를 추산하는 공식적은 통계는 없지만, 국가 교육통계센터 ‘학업중단 현황’ 자료를 통해 유추 해 보면 약 40만명 이상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적지 않은 학교 밖 청소년들 모두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등 지역 유관기관 협력으로 교육을 받으면 좋겠지만, 민간의 영역에서 교육의 수요를 개인적으로 맞추어 진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 학교 밖 청소년들은 집에 혼자 있는 경우가 많고, 학교를 다니는 친구들과 생활패턴이 달라 점점 대인 관계가 축소되기 마련이며, 안정적인 식사, 학습의 기회가 일반 학생들과 현저하게 낮아진다.
따라서 적정한 시기에 교육적 도움을 받지 못하면 ‘위기의 청소년’에 놓일 개연성이 아주 높기 때문에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즉 학교 밖 청소년들을 학교에 복귀할 수 있도록 대안교육기관등 타 기관에서 배운 교육과목을 ‘공교육 학점’으로 인정하게 해, 공교육으로 포용할 수 있는 제도를 강구해야 한다.
첫째, 학생들이 사회성을 배울 수 있도록 즐거움을 유발하는 학교밖에서 이루어지는 동아리 활동, 자기개발, 문화체험 등 교육부가 지정한 인정기관의 활동이 교육학점으로 이수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현재 의무교육단계 학업중단학생인 초·중등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력인증제를 통해 학교 밖 학습경험을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통해 시수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센터에 소속되어 함께 활동하여 소속감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기에 고등학교 학업중단청소년들도 이와 같은 넓은 범위의 학습경험의 인정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중복 교육의 지원사업을 늘려 나가기보다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참여율과 관심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참여 프로그램이 낮은 교육은 과감히 사업 재편하여 학생들의 호응도를 높여야 한다.
간혹 지루한 교과과목이 싫어서 학교를 떠나는 학생들에게 다시 수학, 과학을 지도 받게 한다면 오히려 거부반응만 일으킬 뿐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한 대안교육, 직업교육의 폭을 넓게 한다면 관심 없는 학습과 다른 학교 밖 학습기회로 학교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도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셋째, 무엇보다도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수적이다.
학교 밖 청소년이 문제아, 비행청소년이라는 성인들의 인식을 바꾸어야 하며, 이러한 인식을 청소년들이 답습하지 않아야 한다.
단순히 학교 안과 밖의 차이만 있을 뿐 모두 다 같은 우리의 학생들이다.
학교를 그만두었다고 비행학생으로 따가운 시선을 보낼 것이 아니라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들이라는 관점으로 본다면 문제아가 아니라, 또 다른 학습을 선택한 청소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중국 고사에 "1년의 계획은 곡식을, 10년의 계획은 나무를, 평생계획은 사람을 기르는 일이다"라는 말이 있다.
만약 이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적응을 못하고 사회의 낙오자로 전락하는 순간 개인과 가정의 불행을 넘어 사회적 비용은 오롯이 국가책무로 돌아온다.
차별적인 인식과 편견을 버리고 지속적인 관심과 따뜻한 가슴으로 청소년들을 품고 대한다면 머지않은 미래에 그들의 모습은 건실하고 올바른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해 있을 것이다.
학교 안이든 밖에서든 우리 청소년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노력한 만큼의 결실을 맺는 시간이 되길 간절히 소망해 본다.